-
소스트리에서 Commit 하기DevOps/Git 2020. 2. 9. 21:03
-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로컬 저장소로 지정해둔 폴더를 열고 파일 생성
- 소스트리를 보면 커밋하지 않은 파일이 보인다.
- 커밋 버튼을 눌러 스테이지에 올릴 준비를 한다.
- 스테이지 올리고 코멘트를 달아 어떤 commit인지 명시해 준다.
- 히스토리를 보게되면 방금 커밋한 것은 master 이전에 commit한 것은 origin/master가 되어있다
-origin은 Github 원격 저장소 닉네임
-master는 나의 로컬 저장소를 뜻한다.
-처음 CLI 명령어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주소를 설정 했을 때 이름을 origin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 origin/master는 원격저장소의 현재 버전 상태를 가리키는 커밋에 붙어있다.
- master는 커밋을 올리는 줄기를 뜻한다. 따로 줄기를 생성하지 않으면 master라는 기본 줄기에 커밋된다.
- 로컬저장소에 올라간 파일들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위해 push를 사용한다.
'DevOp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GIT][BitBucket] Clone으로 프로젝트 받아오기 (0) 2020.02.14 [Eclipse][GIT][BitBucket] 원격저장소에 Push하기 (0) 2020.02.14 [Eclipse][GIT] Branch 병합하기 (0) 2020.02.14 Eclipse에서 Git 쓰기 (0) 2020.02.14 브랜치 만들기 (0)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