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diary
-
Spring Web Project의 기본 설정과 사용방법Spring-diary/WEB 2020. 2. 10. 23:17
STS로 Spring Web Project를 시작할 때 Server의 설정을 기본 Server가 아닌 Tomcat으로 바꿔준다. web.xml 파일을 생성하도록 옵션 체크를 해준다. MVC 패턴 사용을 위한 dependency를 mvnrepository에서 받아온다. 받은 후 pom.xml에 등록해 Library 파일을 불러온다. web.xml에 Dispatcher 사용을 위한 설정을 해준다. 주소에 ~.do라는 목록이 나오면 dispatcher가 받는다는 옵션을 web.xml에 설정해준다. WEB-INF 폴더 아래에 dispatcher 옵션 설정을 하는 .xml 파일을 만든다. *이름은 web.xml 파일에 servlet-name의 이름-servlet.xml이다. dispatcher 옵션 설정 파일에 ..
-
Spring MVC 구조Spring-diary 2020. 2. 10. 22:42
client가 서버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한다.Dispatcher Servlet이 요청을 받는다. Dispatcher Servlet이 Handler Mapping에게 요청 해석을 부탁한다. 요청을 해석한 후에 어디 Controller로 찾아가야하는지 알려준다. 요청을 가지고 Controller로 찾아간다. 요청에 맞는 2가지 정보를 다시 Dispatcher Servlet에게 전달한다. -Data+view ->ModelView 전달- 어디로 View로 찾아가야하는지 ModelView에 대한 해석을 부탁한다. 어디 View로 찾아가야 하는지 알려준다. 해당 View로 Model을 가지고 찾아간다. 알맞게 처리한 후에 Dispatcher Servlet에게 전달한다. 다시 Client에게 전달한다.
-
StopWatchSpring-diary/AOP 2020. 2. 7. 16:08
StopWatchMethod가 실행될 때 걸리는 시간을 알 수 있다. 사용방법 Class에 MethodInterceptor Interface를 구현해준다. -초를 재고싶은 method에 stopwatch start >method 실행 >stopwatch stop순- invoke method를 overide 하고 method를 받아와 stopwatch를 실행하는 로직을 사용한다. xml 형식에 ProxyFactoryBean의 List요소로 넣어준다. spring 방식으로 출력해준다
-
Java config로 사용하기Spring-diary 2020. 2. 6. 15:55
xml 설정을 java 설정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 장점 Java 작성시 정적 언어 특징 덕분에 작성 중 컴파일을 통해 에러를 쉽게 찾고 리팩토링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Bean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용 class를 만들어준다. class위에 annotation으로 @Configuration을 명시한다. Bean역할을 하는 method를 만든다 . annotation으로 Bean을 주고 이름을 명시한다. -method의 이름은 아무거나 줘도 된다. 출력하는 파일에서 container의 초기화를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Bean관리파일.class)로 해준다.
-
AnnotationSpring-diary 2020. 2. 6. 14:27
의존도를 낮추고 유지 보수를 위해 xml으로 설정해 사용했으나 너무 많아지면 오히려 유지보수성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 유지 보수를 위해 Annotation 사용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고 변경 가능성이 있는 것은 xml로 설정 * 멤버 필드에 직접 표시를 하기 위한 태그이다 . Namespaces에서 context를 체크하고 xml에 태그를 설정한다. 종류 @Autowired -목적:의존관계 자동설정할 때 사용 -위치:생성자,필드,메소드에 사용 @Value -목적:값을 넣어야 하는 곳에 직접 값 지정 @Bean -목적: Bean 설정 -위치: 객체를 반환하는 method에 이름과 함께 준다.